티스토리 뷰

- 개비자나무 잎




②방법 삽수의 하반부의 잎을 딴 뒤 물에 하단부를 세웠다가 꽂는다. 수포마을앞에 서 있는 것 수고 6m, 흉고직경 22㎝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개비자나무이다. 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 비자나무, 주목은 식물학적으로는 과가 다를 만큼 거리가 있지만 모양새는 매우 유사하다. 잎 뒷면에 연초록 숨구멍 줄이 있는 것이 주목이며, 비자나무와 개비자나무 榧子





삐쭉튀어나온 것이 있는 나선형, 잎이 줄기에 부착된 모습이 ㄱ자형이다. 잎의 길이가 비자나무주목개비자나무 중 중간길이고, 잎이 단단함도 중간이다. 찔리면 잎을 가진 개비자나무2016.3.19.토 / 주목, 비자나무,개비자나무 사진


타원형하다 암꽃 암꽃은 크기가 작아 눈에 잘 띄지 않는다 ◆ 개비자나무 잎 부드러운 잎은 끝이 덜 날카롭고, 뒷면에는 2개의 넓고 기다란 흰색 숨구멍이 있다 7. 개비자나무 학명 Cephalotaxus koreana Nakai




- 개비자나무 꽃말




과명 주목과 속명 Cephalotaxus koreana 영명 Plum yew 중명 삼첨삼三尖杉 일명 チョウセンイヌガヤ 성상 상록소교목, 수고6m 꽃 34월 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는 주목과의 나무로 한반도 특산종이다. 한반도 중부 이남 산골짜기의 습기 많은 곳에서 자라는 상록침엽수로 높이가 3m 정도이다. 잎은 선형으로 3040mm이고 양쪽이 뾰족하며 앞뒷면이 백색이다. 꽃은 단성화로 4월에 핀다. 개비자나무


누은개비자나무, 눈꺼비자나무, 조선조비朝鮮粗榧, 좀개비자나무, 좀비자나무 꽃은 암수딴그루로 4월에 피고, 수꽃은 잎겨드랑이에서 2030개씩 연한 갈색으로 개비자나무





비자나무에 비해 부드러워 쉽게 휘어진다. 암수 딴 그루로 4월에 핀다. 개비자나무의 꽃말은 소중, 사랑스러운 미소라고 한다. 수꽃은 잎겨드랑이에서 2030개씩 연한 사랑스러운 미소 개비자나무




- 개비자나무 암꽃




개비자나무는 주목과의 나무로 한반도 특산종이다. 한반도 중부 이남 산골짜기의 습기 많은 곳에서 암꽃은 한군데 2개씩 달리고 10여 개의 뾰족한 녹색 포에 싸인다. 밑씨는 한꽃에 810개씩 있다. 열매는 다음해 89월에 붉게 익는데 식용하며, 주로 개비자나무


경기도 화성시 융릉에 소재한 개비자나무는 천연기념물 제504호로 지정되어 있다. 길이가 5㎜인 암꽃은 가지 끝에 2개씩 달리는데, 10여 개의 뾰족한 녹색 포에 개비자나무 榧子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우는 꽃으로 복수초 역시 봄의 전령사라 한다. ♣ 개비자나무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 주목과의 상록침엽 관목이다. 올망졸망 맺혀 있는 봄꽃 나들이 풍년화, 복수초,개비자나무, 개상사화, 앉은부채




- 개비자나무 융건릉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는 경기도 화성시 융건릉에 있는 개비자나무이다. 융릉 재실에 있으며, 높이가 약 4미터, 줄기 둘레가 80센티미터에 이르러 한국 서식 개비나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이 세 개의 줄기들은 수관도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까이에서 보지 않으면 마치 세 그루의 개비자나무가 각각 자란 것처럼 보인다. 나무는 융건릉 관리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華城隆陵 榧子





천연기념물 중 개비자나무는 융릉에 있는 것이 유일하다 ​ 궁궐의 우리나무를 쓴 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는 “손바닥을 펴서 잎의 끝 부분을 눌러보았을 때 딱딱하여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융건릉 재실 내 천연기념물 제504호


융건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1안내문 융건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2 융건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3 융건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4 융건릉 개비자나무 19일 녹 연중 제33주간 토요일매일미사 묵상/융건릉 개비자나무 5장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